Chungju Art Centre

 
 

I happily announce that one of our recent works has awarded the 2nd Prize in Chungju Art Centre Competition. How should loyalty be symbolized? It started with concerns about locality. Hoamji, Tangeumdae, Jungangtap, and City of Loyalty were symbols that were advantageous for creating architectural forms, but they were not likely to serve as philosophical motifs for the Seoul Arts Center. As a result of several site visits and contemplation, Chungjuseong, which we paid attention to, was a serenity itself that did not change despite the change of time and weather. The Hoam area was a particularly beautiful place with the snow-covered white rice fields and the soft twilight. For a long time, I have been thinking a lot about the abstract concept of architecture. Even when I won the design competition for the pavilion at the Venice Biennale, I clung to Goethe's words, 'I saw the sea for the first time in Venice' for days and days. It took a very long time and effort to find the motif of 'fog' in this one sentence. This design plan for the Chungju Arts Center is all the more regretful because there were many internal conflicts like this. I wanted to capture the ever-changing scenery of Hoam on the skin. Specifically, we wanted the theater's skin to function like a natural media façade. Architecture that captures the small amount of time through changes in the epidermis that is discolored and worn out. Classical vertical concrete and glass curtain walls were used as the main materials to make it a sturdy theater that does not lose its dignity while being simple. Like the concrete skin of the National Theater and the National Theater in England, which contain the traces of time, the architecture was intended to maintain its classic character as a theater over the years. As a result, the mass of the cross-shaped Proscenium Theater, which consists of four stages, became a shape that was exposed to the outside. It was judged that the scenery in reality felt in the glass atrium where the stars were pouring during the intermission would add another inspiration to the performance. At this point, I searched the theater technical information DB and found that there are not many theaters in Korea that are properly equipped with a rear stage. It is probably because the local government prefers multi-purpose theaters rather than theaters dedicated to musicals where the depth of the stage is important. For similar reasons, there are more proscenium theaters than amphitheaters that favor classical music. Because musical consumption is higher. This work was a great opportunity to study the classic theater without any problems. The optimal reverberation time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stage, the position of the dress circle according to the sound diffraction, etc. I was able to study and simulate numerous theories of performing arts in 3D.

충주성이란 어떻게 상징화 되어야 할까? 지역성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을 했다. 호암지, 탄금대, 중앙탑, 충절의 도시 등 건축형상을 만들어 내는데 유리한 상징들이 있었지만 예술의 전당의 철학적 모티브가 되기에는 개연성이 부족했다. 수차례 현장방문과 고민의 결과, 저희가 주목했던 충주성은 시간과 날씨의 변화에도 변함없는 평온함 자체였다. 호암일대는 눈 쌓인 하얀 논밭, 은은한 어스름이 특히나 아름다운 곳이었다. 오래전부터 추상적 개념의 건축화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해오고 있다. 베니스 비엔날레 파빌리온 설계공모 당선 당시에도 '나는 베니스에서 바다를 처음 보았다'는 괴테의 한마디에 몇날 몇일을 매달렸다. 이 한 문장에서 'Fog'라는 모티브를 찾아내기까지 굉장히 오랜 시간과 노력이 들었다. 이번 충주 예술의 전당 설계안은 이와 같은 내면적 충돌이 많았기에 더 아쉬움이 남는다. 시시각각 변하는 호암 일대의 풍광의 변화를 표피에 담아내고 싶었다. 구체적으로 Theater의 외피가 자연이 만들어내는 미디어 파사드처럼 작동하기를 원했다. 이염되고 낡아가는 표피의 변화를 통해서 소소한 시간을 담아내는 건축. 고전적인 버티컬 콘크리트와 글라스 커튼월을 주재료로 질박하면서도 위용을 잃지 않는 단단한 Theatre가 되도록 하고자 했다. 시간의 흔적을 담고 있는 국립극장과 영국 National Theatre의 콘크리트 표피처럼, 세월이 지나도 Theater로서의 고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건축을 의도했다. 그 결과 4개의 무대로 구성된 십자형의 Proscenium Theater의 매스가 고스란히 외부로 드러나는 형상이 되었다. 인터미션때 별빛이 쏟아지는 글라스 아트리움에서 느끼는 현실 속의 풍광은 공연에 또다른 감흥을 더해주지 않을까 하는 판단이었다. 이참에 극장기술정보 DB를 뒤져보니, 국내에는 Rear Stage가 제대로 갖추어진 극장이 많지 않았다. 무대의 Depth가 중요한 뮤지컬 전용극장 보다 다목적 극장을 지자체에서 선호하기 때문인듯 하다. 비슷한 이유로 클래식에 유리한 원형극장보다 프로세니엄 극장이 많다. 뮤지컬 소비가 더 많기 때문이다. 만약 국내에 전용극장이 드문 이유가 설계사들의 역량부족에 기인한다면? 혹은 아마추어 심사에 기인한다면? 상상조차 하고 싶지 않지만, 대부분의 Theater 혹은 문화센터 설계공모 심사위원 리스트에 공연예술전문가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가벼운 행정력을 탓해야하는 것인가. 그럼에도 이번 작업은 고전적인 Theater에 대해 원없이 스터디 할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무대의 깊이에 따른 최적의 잔향시간, 음의 회절에 따른 Dress Circle의 포지션 등. 수많은 공연예술의 이론들을 3차원으로 스터디하고 시뮬레이션 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동선과 조닝, 무대 연출에 실무적이고 깊이 있는 조언을 해준 아내에게 감사한다.ㅤ

 
08_re.jpg
15-횡단면도1_re.jpg
03_re.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