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ization in Detail Design

 
 

What we have been most concerned about over the past few months is ultimately the realization of the details. Even if we design innovative details, the ultimate obstacle is whether they can be verified. For this reason, a process of making details realistic is necessary so that even small local construction companies lacking construction capabilities can carry out construction. In a grandiose sense, it is a self-deprecating downgrade process called the Koreanization of details. This requires the architect's persistence to maintain the original plan amidst the accompanying design changes. The desire for new details, rather than a patchwork of details received from partners, is the source of architectural challenges. As an extension of that, detailed model work is essential. A physical model of at least 1/50 scale goes beyond simple mass study and becomes a guide to issues that may arise at construction sites. I am grateful to Associate Designer Woo-jong Cho for continuing his excellent studies for a long time despite his busy work.

지난 몇달간 가장 고민했던 부분은 결국 디테일의 현실화. 혁신적인 디테일을 설계해도 결국 걸림돌이 되는 것은 실증가능여부다. 때문에 시공능력이 부족한 영세한 지방 건설사들도 시공할 수 있도록 디테일을 현실화 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거창하게는 디테일의 한국화라는 자조적인 다운그레이드 과정이다. 이를 통해 수반되는 설계변경 속에서 원안 유지를 위한 건축가의 고집이 필요하다. 협력사들에서 받은 디테일의 짜집기가 아닌 새로운 디테일에 대한 갈망은 건축적 도전의 양분이된다. 그 연장선상에서 디테일한 모형 작업은 필수다. 최소 1/50 스케일의 물리모형은 단순한 매스스터디를 넘어 현장에서 발생가능한 이슈들에 대한 가이드가 된다. 바쁜 업무속에서 긴시간 훌륭한 스터디를 지속해 준 조우종 차장에게 감사한다.

 
 
 

Built-form in High-Density Urban Areas

 
 

Hana Financial Group Eunpyeong-gu Public Kindergarten is a project that presents a new spatial concept for childcare facilities that responds to the underdeveloped surrounding environment in high-density urban areas. This is Hana Financial Group's first Kindergarten to be newly built in Seoul. A lot of effort was put into designing an efficient spatial layout in an unreasonably dense residential area. An atrium with a high floor height that responds to microclimate, an open façade to improve the indoor environment where lighting is lacking due to adjacent buildings, louver shielding to protect children from surrounding gaze in the dense ground, and the moving louver frame for emergency entry. Active architectural methodologies were reflected in many aspects. High-end architecture is not just about expensive materials and new details. High-end public architecture is a matter of how deeply realistic constraints can be overcome with realistic materials and realistic details. Ultimately, these are concerns about creating a comfortabl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children and daycare teachers. Hana Financial Group's public daycare center in Eunpyeong-gu, which was the result of numerous studies and debates, is nearing completion.

하나금융그룹 은평구 국공립어린이집은 고밀도 도심지에서 낙후된 주변 환경에 대응하는 보육시설의 새로운 공간개념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다. 하나금융그룹의 어린이집으로는 서울시내에 처음으로 신축되는 보육시설이다. 불합리한 주거밀집지역에서 효율적인 공간레이아웃을 설계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Microclimate(미시기후)에 대응하는 높은 층고의 아트리움, 인접건물로 인해 채광이 부족한 실내 환경 개선을 위한 개방된 파사드, 조밀한 땅에서 주변의 시선으로 부터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루버 차폐, 비상시 진입을 위한 Movable Louver Frame까지 많은 부분에서 능동적인 건축방법론들이 반영됐다. 하이엔드 건축은 비싼 재료, 새로운 디테일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공공에서의 하이엔드 건축은 현실적인 재료, 현실적인 디테일로 얼마나 깊게 현실적 제약들을 극복하느냐의 문제다. 결국 아이들과 보육선생님들에게 구축해줄 쾌적한 정주환경에 대한 고민들이다. 수많은 스터디와 디베이트가 반영된 하나금융그룹 은평구 국공립어린이집이 준공을 목전에 두고 있다.

 
 
 

Foundation Work_ Wondang Gateball Stadium

 
 

Wondang Gateball Stadium is the result of applying many active architectural devices based on Adaptive Architecture. A variety of Sustainable Design methodologies were applied, including the Ventilation In-Let System to actively induce natural ventilation within the stadium, the Sloped Ceiling Curtain Wall to optimize the inflow of natural light, and the Extended Eaves to control the excessive inflow of direct sunlight. The purpose of all these active devices is ultimately to provide a healthy sports space for local senior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 gateball stadium. The foundation framing work of the Wondang Gateball Stadium, for which a lot of time and effort was put into detailed design, has been completed.

원당 게이트볼 경기장은 Adaptive Architecture에 기반한 능동적 건축디바이스들이 다수 적용된 결과물이다. 경기장내 적극적인 자연환기 유도를 위한 Ventilation In-Let System, 자연광 유입을 최적화 시키는 Sloped Ceiling Curtain Wall, 직사광선의 과도한 유입을 조절하는 Extended Eaves 등 다양한 Sustainable Design 방법론들이 적용되었다. 이 모든 능동적 디바이스들의 목적은 결국 게이트볼 경기장 건립을 갈망해오신 지역 어르신들에게 건강한 체육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디테일 설계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아부었던 원당 게이트볼 경기장의 기초부 골조 작업이 마무리됐다.

 
 
 

Ewha Helen Hall

 
 

Helen Hall was built in 1957 as Ewha Womans University's first central library. It is a representative building symbolizing Ewha Womans University's history. It is currently used by the College of Nursing. Helen Hall is a place of active cultural exchange among the new women of the time and a place where numerous debates and discussions took place at key moments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and contemporary women's rights. It is a building that shows modern architectural style well and has great architectural historical value. The façade, which shows precisely calculated proportions with simple intersecting concrete louvers, presents the depth of refined order and sophistication that transcends the times. Although Helen Hall is a symbolic building of Ewha Womans University, it is currently isolated due to the physical limitations of the aging building and its deviation from the axis of the ECC campus. The façade facing the road is dispersed from view due to the level difference, creating a naturally isolated spatial structure. Unlike the trend in modern architecture, where openness and autonomy of action must be guaranteed, this closed spatial structure serves as the main cause of weakening the goal of an open academic information center. We sought to present a new alternative as an open, cutting-edge academic information center by resolving the physical limitations of Helen Hall.

Beyond the task of reconstructing a symbolic building of a university, the design process wa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reinterpreting Helen Hall as a space with a strong identity within the flow of modern Korean architectural history. The starting point of this design was to reduce the physical gap based on strong communication with the surrounding context. To this end, we sought to preserve the façade of Helen Hall, which has high preservation value, and at the same time inherit the value of Helen Hall as a heritage of Ewha Womans University through reinterpretation. An innovative alternative was needed that went beyond the expected primary responses, such as preservation of the façade, use of the courtyard, and tower-type mass. We wanted to create a design that would exemplarily inherit tradition with creative vocabulary, such as reprocessing the rear part while preserving the skin, and contrasting physical properties. In order to establish an innovative design direction based on conservation, the design was carried out based on several specific principles. First, utilize the level difference of the land when opening the mass. Second, the past and present will be recombined through an autonomous interior space that contrasts with the refined façade. Third, the dignity of the Helen Hall as a symbol of Ewha Womans University will be shown through the preservation of the façade. Based on these principles, we tried to find proportions and volumes that would balance Ewha Womans University's main building and the central library.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realize a façade with a purified identity that harmonizes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within the hierarchy of the campus, the original shape of the façade was preserved as much as possible according to the detailed facility construction plan, minimizing the sense of heterogeneit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open atrium and laminated slabs embracing the campus landscape were intended to function as the main library's vestibule. We wanted to maintain the original context of Helen Hall but create an innovative interior space that fits the context of the times as a cutting-edge academic information center. Through this, we attempted to decentralize the functions of the saturated Central Library and fundamentally improve the irrationality of the existing circulation lines through vertical movement lines on both sides of the slab.

As it is a building with a strong identity that symbolizes the history and future of Ewha Womans University, we wanted to reflect innovative design methodologies. In addition to maintaining the existing Helen Hall façade, the new Environmentally Adaptive Facade system allowed for active control of lighting and ventilation. We attempted to solve the dark and humid microclimate of the existing Helen Pavilion through an architectural device based on natural ventilation (cross ventilation). The façade and atrium, designed to the optimal shape through various eco-friendly design simulations such as insolation and indoor wind tunnel (CFD), will provide users with a healthy residential space. The reconstruction of Helen Hall began with the contemporary task of evolving the academic information center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such as the lack of individual creative space, acceptance of various learning styles, and creation of a new campus atmosphere. The current Central Library had realistic limitations such as space usability, capacity, and aging facilities to accommodate these issues. Helen Hall, which will complement this and be reborn as an organic space with a strong identity, will symbolize the future of Ewha Womans University, which has led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 of Korea by producing numerous talented people and will also function as a unique academic information center within the high-density campus.

헬렌관은 1957년 이대 최초의 중앙도서관으로 건립된 건물이자 이대의 역사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건물이며 현재 간호대학으로 사용중이다. 헬렌관은 당대 신여성들의 활발한 문화교류의 장이자 근현대 여권 신장의 주요 순간마다 숱한 논쟁과 협의가 오갔던 곳으로 그 장소성과 상징성이 주는 위압감은 굉장하다. 근대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는 건축물로 건축사적 가치도 우수하다. 간결한 콘크리트 루버가 교차하며 정교하게 계산된 비례를 보여주는 파사드는 정제된 질서의 깊이와 시대를 뛰어넘는 세련됨을 선사한다. 헬렌관은 이대를 상징하는 건물임에도 노후화된 건물의 물리적인 한계와 ECC 캠퍼스 축에서 벗어남으로써 현재 다소 고립된 상황이다. 도로에 면한 파사드는 레벨차로 인해 시야에서 분산되면서 자연스럽게 고립된 공간구조를 연출하고 있다. 개방성과 행위의 자율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현대 건축의 추세와 달리 이러한 폐쇄적인 공간구조는 열린 학술정보관이라는 목표를 약화시키는 주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헬렌관의 물리적 한계를 양성화시켜 열린 첨단학술정보관으로서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

 

한 대학교의 상징적인 건물의 재건축이라는 과업을 넘어 한국 근대 건축사의 흐름 속에서 강한 정체성을 지닌 공간으로서 헬렌관을 재해석한다는 관점을 설계과정의 기저에 두었다. 주변 컨텍스트와의 강한 교감을 바탕으로 물리적 간격을 줄이는 것이 본 설계안의 시작점이었다. 이를 위해 보존가치가 높은 헬렌관 입면을 존치함과 동시에 재해석을 통해 이대의 유산으로서 헬렌관의 가치를 계승하고자 했다. 파사드 보존, 중정의 활용, 타워형 매스 등 어느 정도 예상되는 1차적 대응을 뛰어넘는 혁신적인 대안이 필요했다. 표피 존치와 함께 후면부를 재가공한다거나 물성의 대비 등 창의적 어휘로 전통을 모범적으로 계승하는 설계안을 만들어내고자 했다. 보존에 기반한 획기적인 설계방향 정립을 위해 구체적으로 몇 가지 원칙을 두어 설계를 진행했다. 첫째, 매스 개방에 있어 대지가 지닌 레벨차를 활용할 것. 둘째, 정제된 파사드와 대비되는 자율적인 실내 공간을 통해 과거와 현재를 재조합할 것. 셋째, 파사드의 존치를 통해 이대의 상징으로서 헬렌관의 위엄과 품위(Dignity)를 보여줄 것. 이러한 원칙을 기반으로 이대 본관과 중앙도서관 사이에 균형을 가져다줄 비례와 볼륨을 찾아내고자 했다. 동시에 캠퍼스의 위계 속에서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순화된 정체성을 지닌 파사드를 구현하기 위해 세부시설조성계획에 따라 입면부는 최대한 원형을 보존하여 주변 환경과의 이질감을 최소화했다. 캠퍼스 풍경을 품은 열린 아트리움과 적층된 슬라브는 중앙도서관의 전실로서 기능하도록 의도됐다. 헬렌관이 지닌 원형의 컨텍스트를 유지하되 첨단 학술정보관이라는 시대의 맥락에 부합하는 혁신적인 실내 공간을 창출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포화상태인 중앙도서관의 기능 분산을 유도하고 슬라브 양측면의 수직동선을 통해 기존 동선의 불합리함을 근본적으로 개선했다.

 

이대의 역사와 미래를 상징하는 정체성이 강한 건물인만큼 혁신적인 디자인 방법론들을 반영하고자 했다. 기존 헬렌관의 입면을 존치함을 넘어 새로운 환경적응파사드(Environmentally Adaptive Facade) 시스템으로 적극적으로 채광과 환기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했다. 어둡고 습했던 기존 헬렌관의 미시기후(Microclimate)를 자연환기(Cross ventilation)에 기반한 건축적 장치를 통해 해결하고자 했다. 일사량(Insolation), 실내풍동(CFD) 등 다양한 친환경 설계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형상으로 디자인된 파사드와 아트리움은 사용자에게 건강한 정주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헬렌관 재건축은 개별 창작 공간의 부족, 다양한 학습 형태 수용, 새로운 캠퍼스 분위기 조성 등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학술정보관의 진화라는 시대적 과업에서 시작됐다. 이러한 최신 이슈들을 수용하기에 현 중앙도서관은 공간 활용성, 수용 규모, 시설 노후 등 현실적 한계를 갖고 있었다. 이를 보완하며 강한 정체성과 유기적인 공간으로 재탄생할 헬렌관은 수많은 인재 배출을 통해 한국의 근현대를 이끌어온 이대의 미래를 상징함과 동시에 유휴부지가 부족한 고밀도의 캠퍼스 내에서 유일무이한 학술정보관으로서 기능할 것이다.

 
 

National Jeongdong Theater

 
 

Last week, the results of the Jeongdong Theater design contest were announced. Let's summarize some thoughts. Before the participation, I could not shake off my doubts about the legitimacy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existing Jeongdong Theater. There was the burden of pouring out limited resources as an atelier amid the shortage of manpower in the architectural field in Korea, so it was a priority to find the justification for participation. The discussion about the reconstruction of the Jeongdong Theater started with the desperate task of maintaining the theater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such as the lack of Korean traditional opera theaters, the need to accommodate various types of performances, and to meet the demand for audiences that will explode after Covid-19. The problem is that to accommodate these realistic issues, the existing Jeongdong Theater had many physically incomplete parts, such as the implementation of a variety of performances, the number of seats, and the aging of the stage equipment. At the level of renovation or reconstruction, it was difficult to guarantee the function of Jeongdong Theater as a production theater. Hundreds of reasons can be given for the preservation of the existing Jeongdong Theater in terms of architectural value and cultural symbolism. However, I was more sympathetic to the real motive that the thirst of a field of performing arts in Korea for a real stage should take precedence over the reasons for maintaining it, and I decided to participate. First of all, the sublation point was more important than the orientation point. The part I avoided the most was the notion that the urban context or materiality should be blindly preserved because. For instance, the notion that concrete and curtain walls are a symbol of modernity, so they will not be suitable for Jeongdong, and the notion that all old structures are worth preserving. Therefore, preservation of the red brick façade of the existing Jeongdong Theater and the succession of the courtyard were expected responses. In the meantime, I have experienced countless cases where the tradition was inherited by way of creative design languages, such as reprocessing the rear part of a building with only preserving the skin or contrasting materiality. Those ideas were shown in works: Peter Zumthor's Kolumba Museum, Ando Tadado's Bourse de Commerce, Foster+Partners' Museo Nacional del Prado, and HPP Architekten's Leipzig Congress Center. What they have in common is that the object itself had a superior value, and the selective respect and intentional disregard of the architect who designed it. On the other hand,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justification for its irreplaceable preservation in the 26-year-old Jeongdong Theater (1995), not even the lost Wongaksa Theater (1908). Moreover, the existing Jeongdong Theater's yard, which was formed from the methodology of separating the space from the outside with a barrier, was distant from the methodology of modern public architecture that emphasizes openness and transparency. Selective preservation was much more important than emotional succession that had to be preserved because it was just old or because the memories of citizens were accumulated. On the basement of such notions, specifically, I tried not to deviate from the three tasks below. First, a new methodology for opening ground level in the high-density old city center will be presented. Second, present a prototype of the compressed Proscenium theater on a narrow site. Fourth, show Dignity as a national theater. As a result, although theater design was competitive, there seemed to be some disagreement during the evaluation in the methodology of opening ground level, respect of the context, and materiality. Rather than feeling regret for the subjective judgment, once again take responsibility for the incomplete design. There are a few rules in participation in the competition: It should be possible to archive and library for future work. It must be socially and culturally meaningful. It should be worth the architectural challenge. It should be fun to design. Recently, an experiment has been added. It is the possibility of the staff in a manpower shortage. It is not easy to keep the belief that works will prove the justification of a fair design competition with insufficient hands. the year is coming to an end. I am relieved that there were still many right choices amidst the choices and opportunities. As an extension, I am grateful that the Jeongdong Theater design was also an opportunity to demonstrate my work.

정동극장 설계공모. 몇 가지 생각을 정리해 본다. 참가 전, 기존 정동극장 재건축의 당위성에 대한 의심을 떨칠 수 없었다. 또한 건축계 인력난 속에서 아틀리에로서 제한된 리소스를 쏟아 부어야 한다는 부담도 컸다. 정동극장 재건축 논의는 전통 창극 공연장의 부족, 다양한 공연 형태 수용의 필요성, 코로나 이후 폭증될 관객 수요의 충족 등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극장의 존립이라는 필사적 과제에서 시작됐다. 현실적 이슈들을 수용하기에 기존 정동극장은 무대 연출의 다양성 구현, 객석규모, 무대장치 노후 등 물리적으로 미완의 부분들이 많았다. 개축 혹은 리모델링 수준으로는 제작극장으로서 정동극장의 기능을 담보하기 어려웠다. 기존 정동극장의 건축적 가치, 문화적 상징성 측면에서야 수백 가지 존치의 이유를 댈 수 있겠다. 하지만 공연장다운 공연장, 무대다운 무대에 대한 공연예술계의 생존에 대한 갈증이 존치 이유보다 우선해야 한다는 현실적 동기에 더 큰 공감을 했고, 참가의 이유가 됐다. 타 도심지와 달리 정동 일대는 문화재, 역사적 장소, 공공기관, 유서 깊은 학교, 미술관 등 문화 인프라가 곳곳에 산재되어 있는 지역으로 정동극장은 그 중심에 위치해 있다. 정동극장의 상징성은 널리 알려져 있으나 공간 자체의 정체성은 주변의 강한 모뉴먼트들에 의해 가려진 상태다. 정동극장은 덕수궁길, 정동길에 둘러쌓여 한 면만 도로에 개방되어있는 형상으로 고립도가 심화되어 있다. 더욱이 도로에 면한 파사드가 차벽으로 분리되어 다소 폐쇄적인 공간구성을 취함으로써 개방적인 면에서 취약점이 발견된다. 과거와 달리 시민에 대한 개방성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이러한 폐쇄적인 공간구조는 시민에게 열린 극장이라는 정동극장 본연의 색체를 약화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기존 정동극장의 물리적인 한계를 직시하고 새롭게 열려있는 극장으로서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주변 컨텍스트들과의 강한교감을 바탕으로 시민들과의 물리적 간격을 줄이는 것이 본 설계안의 시작점이 되었다. 우선 지향점보다 지양점이 중요했다. 가장 지양했던 부분은 ‘정동’이므로 도시적 컨텍스트 혹은 물성을 맹목적으로 보존해야 한다는 관념이었다. 가령 콘크리트와 커튼월은 모던의 상징이므로 정동에 어울리지 않을 것이라는 관념, 오래된 구조물은 모두 보존의 가치가 있다는 관념 등이다. 따라서 기존 정동극장의 파사드 보존, 안마당의 계승 등은 쉽사리 예상되는 대응이었다. 그동안 기존의 컨텍스트들을 모범적으로 계승했던 사례들을 수없이 직접 보고 만져 봤었다. Peter Zumthor의 Kolumba Museum, Ando Tadado의 Bourse de Commerce, Foster+Partners의 Museo Nacional del Prado, HPP Architekten의 Leipzig Congress Center 등이 그러했다. 이들의 공통점은 존치의 대상이 이미 태생적으로 월등한 가치가 있었고, 이를 손댄 건축가의 선택적 존중과 의도적 무시가 병행되었다는 점이다. 이에 비해 이미 소실된 원각사(1908)도 아닌 이제 갖 26돌 된 기존 정동극장(1995)에서 대체 불가능한 존치의 당위성을 찾기는 어려웠다. 더욱이 차벽으로 외부와 경계 지어 공간을 분리하는 방법론에 기반한 기존 정동극장의 안마당은 개방과 투명성을 강조하는 현대 공공건축의 방법론과도 상당한 괴리가 있었다. 그저 오래됐으니, 혹은 추억이 있으니 보존해야 한다는 맹목적 존치보다 선택적 존치가 주요했다. 이러한 베이스먼트 위에서 구체적으로 아래 세 가지 TASK에서 벗어나지 않으려 노력했다. 첫째, 고밀도 구도심에서 저층부 개방의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할 것. 둘째, 협소대지에서 압축된 Proscenium 극장의 Prototype을 제시할 것. 셋째, 국립극장으로서 Dignity를 보여줄 것. 결과적으로 보면, 공연장 설계만큼은 경쟁력이 있었으나, 저층부 개방의 방법론, 컨텍스트와 물성의 존중에 있어서 심사 시 다소 이견이 있었던 것 같다. 주관적인 판단에 대한 아쉬움보다 다시 한번 미완의 설계안에 책임을 지우게 된다. 현상설계 참가 시 몇 가지 원칙이 있다. 차기 작업을 위한 아카이빙과 라이브러리화가 가능할 것. 사회적 문화적으로 의미가 있을 것. 건축적인 도전이 될것. 즐겁게 디자인할 수 있을 것. 최근에는 한가지 실험이 더해졌다. 인력난 속에서 스탭의 가능성이다. 부족한 일손으로 공정한 설계공모의 당위성을 작품으로 증명하겠다는 신념을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다. 한해가 끝나간다. 선택과 기회 속에서 그래도 올바른 선택이 있었음에 안도한다. 연장선 상에서 정동극장 설계 역시 내 작업을 실증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었음에 감사한다.

 
 
 

SEOULTECH Library and Students Hall

 
 

I participated in a new architectural competition after winning in a competition hosted by HANA Financial Group in April. I compete with the D-firm consortium following the K-firm in Guro Station architectural competition and the H-firm in Chungju Art Centre competition. The result is the 2nd Prize. The selected work was great as well. Every month, many architects have been engaged in several competitions. Sometimes good works are selected as a winner. But in many cases, much greater works that deserve to be a winner are failed. One of the reasons I compete with Goliaths is to verify the justification of fairness in architectural competitions in Korea. If we do not compete or challenge with a sense of defeat on an uneven playing field, grotesque spaces will overflow. I believe that keeping a sense of challenge is the true attitude of a young architect. To me, the much more important thing than being a winner would be keeping a coherent architectural spectrum, and creating works that are deserved by myself after years. In that way, the 2nd Prize would be valuable.


지난 4월 하나금융 설계공모 당선 이후 오랜만에 참가한 설계공모. 구로역사의 K사, 충주예술의전당의 H사에 이어 또다른 대형 설계사인 D사 컨소시엄과 경합을 벌였다. 어느때보다 공정한 심사를 기대했다. 결과는 2등. 당선안은 훌륭했다. 매달 수개의 설계 공모에 건축가들이 뛰어든다. 훌륭한 당선작도 많지만, 그보다 더 뛰어난 작품이 낙선되는 경우도 많다. 내가 틈틈히 다윗과 골리앗 싸움에 뛰어드는 이유는 대형설계공모에서 공정한 심사의 당위성을 작품으로 증명하기 위함도 있다. 기울어진 운동장이라고 도전조차 않는다면, 우리 주변에 정체성 없는 괴공간들은 넘쳐날 수밖에 없다. 한번 부딪혀 보자는 것이 젊은 건축가의 자세가 아닐까. 당선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일관성 있는 스펙트럼을 유지하는 것. 수년 뒤 나 스스로가 deserve 할 수 있는 작업을 세상에 내놓는 것. 그런 면에서 아쉬운 2등은 더 값질 수 있을 것이다.

 
210727_서울과기대_내부투시도.jpg
 
 

Gwangju Dong-gu and Asia Culture Centre

 
 

Dong-gu, Gwangju, is a place with a strong pulse of urban and political heritage. Every time I come down, I look into the alleys from Jeonnam Provincial Office to Chungjangro 5-ga to see the changes over time. In the 1980s, Gwangju Dong-gu was dark, but it was a time when rapid urban expansion took place, centered around the old City Hall intersection and the Jeonnam Provincial Office area. Even now, stylish traces based on challenging modern architectural styles and strong regionalism remain here and there on the back roads. The Asian Culture Center covered up this valuable city heritage like a tsunami. Destruction of existing context by heterogeneous microstructure. My birthplace, my parents' home, the alleys I had frequented for over 20 years, and all the memories and places of memory were swept away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Asia Culture Center. Although it was the Asian Culture Center that many residents supported by giving up their livelihood and homes in exchange for low compensation, this huge mass is becoming a disconnected stagnant waste. Businessmen who had hoped for the regeneration of the old downtown began to leave due to the decrease in population inflow, and the leadership of the old City Hall Intersection, Chungjang-ro, and Geumnam-ro, which were the heart of Gwangju, was lost to Sangmu and Cheomdan. The brutality of the space shown by this identityless giant ‘civil engineering project’ imported from the United States and built in my hometown. Thanks to this, I entered the profession of architecture. As a resident, this is where I was born and lived, and I felt that I had to do something, so I joined Samwoo Design, which was the domestic design partner for the Asian Culture Center construction project at the time. What can I do about the twists, turns, disappointments, and frustrations that follow? The building, which was said to be lowered to the ground floor, claimed to be isolated due to lack of accessibility and visibility, and the ramps that were inevitably formed due to the level difference took up unnecessary building areas and became a strange skip floor. The plaza is a place where context and people symbolically and physically converge and diverge, and comfortable access must be guaranteed. In the past, the Jeonnam Provincial Office area functioned normally as a democratic plaza where public gatherings were easily held. Currently, this place is no longer physically capable of becoming a plaza. The ‘Forest of Light’, which was intended to be a wonderful open space, became a ‘forest of a maze’ during the day and a ‘forest of cover’ at night due to finely segmented movement lines and obstacles. It completely failed in public. I feel embarrassed when I see visitors struggling to find their way, buried in their isolated identity. Couldn’t it be a space where social thinking takes precedence over architectural thinking? This is neither best nor optimal. It's just civil work that we have to endure because it was built. That could be the case. Isn’t that too big of a misjudgment? Today is a spring day. The area of the Asian Culture Center in Dong-gu, Gwangju, which I visited again with my father. A nice day, a walk with my father.

광주 동구는 도시 유산과 정치 유산이 산재해있는 강한 맥이 흐르는 곳이다. 내려올 때마다 전남도청에서 충장로5가까지 골목골목 살펴보며 그간의 변화를 살펴본다. 80년대 광주 동구는 어두웠지만, 구 시청 사거리와 전남도청 일대를 중심으로 급격한 도심지 확장이 이루어졌던 시기였다. 지금도 이면도로에는 도전적 근대건축 양식과 강한 지역성에 기반한 멋스러운 흔적들이 곳곳에 남아있다. 아시아문화전당은 이런 값진 도시의 유산을 쓰나미처럼 덮어버렸다. 이질적 거대 구조물에 의한 기존의 문맥 파괴. 나의 생가, 부모님의 삶의 터전, 20년 넘게 드나들던 골목길들, 모든 추억과 기억의 공간들이 아시아문화전당 건설과 함께 쓸려나갔었다. 수많은 주민들이 낮은 보상금에 생계와 터전을 양보하며 지지했던 아시아문화전당이었건만, 이 거대한 덩어리는 단절된 고인물이 되어가고 있다. 구도심 재생을 기대했던 상공인들은 인구유입 감소로 떠나기 시작했고, 광주의 심장부였던 구 시청 사거리, 충장로, 금남로는 주도권을 상무와 첨단으로 내어주고 말았다. 미국에서 수입되어 고향 땅에 들어선 이 정체성 없는 거대 ‘토목공사’가 보여주는 공간의 포악성. 덕분에 나는 건축이라는 직업에 발을 담갔었다. 주민으로서 내가 나고 살았던 곳인데 뭐라도 해야한다는 생각으로 당시 아시아문화전당 건립공사 국내 설계 파트너였던 삼우설계라는 곳에 입사했었다. 이후 우여곡절과 실망, 좌절은 언급해서 뭐하겠나. 지층으로 몸을 낮췄다는 건물은 접근성과 시인성 부재로 고립을 자처했고, 레벨 차로 부득이 형성된 램프들은 불필요한 건축 면적을 점유하며 기이한 Skip Floor가 되어 버렸다. 광장은 문맥과 사람이 상징적, 물리적으로 수렴발산 되는 곳으로 Comfort한 접근이 보장되어야 한다. 과거 전남도청일대는 대중 집회가 수월한 민주 광장으로 정상 작동했었다. 현재 이곳은 더이상 물리적으로 광장이 될 수 없는 구조다. 열린 공간이라 근사하게 의도되었던 ‘빛의 숲(Forest of Light)’은 잘게 분절된 동선과 지장물로 낮에는 ‘미로의 숲’, 밤에는 ‘엄폐물의 숲’이 되었다. 공공성에서 철저히 실패했다. 고립된 정체성에 매몰되어 길을 찾아 헤매고 있는 방문자들을 보니 내가 다 낯이 뜨거워진다. 건축적 사고보다 사회적 사고가 앞서는 공간이 될 수는 없었나. 이것은 최선도 최적도 아니다. 그저 지어졌으니 우리가 버텨내야 할 Civil Work일 뿐. 그럴 수도 있지 하기엔 너무 큰 오판 아닌가. 오늘 봄날. 아버지와 함께 다시 찾은 광주 동구 아시아문화전당 일대. 좋은 날 아버지와의 산책이다.

 
157937006_3688599664551446_4641930450600096934_o.jpg
157487830_3688599657884780_679565173300303358_o.jpg
157454658_3688599671218112_7651086655397496056_o.jpg
158187350_3688599661218113_4133588771174524841_o.jpg
 
 

Chungju Art Centre

 
 

I happily announce that one of our recent works has awarded the 2nd Prize in Chungju Art Centre Competition. How should loyalty be symbolized? It started with concerns about locality. Hoamji, Tangeumdae, Jungangtap, and City of Loyalty were symbols that were advantageous for creating architectural forms, but they were not likely to serve as philosophical motifs for the Seoul Arts Center. As a result of several site visits and contemplation, Chungjuseong, which we paid attention to, was a serenity itself that did not change despite the change of time and weather. The Hoam area was a particularly beautiful place with the snow-covered white rice fields and the soft twilight. For a long time, I have been thinking a lot about the abstract concept of architecture. Even when I won the design competition for the pavilion at the Venice Biennale, I clung to Goethe's words, 'I saw the sea for the first time in Venice' for days and days. It took a very long time and effort to find the motif of 'fog' in this one sentence. This design plan for the Chungju Arts Center is all the more regretful because there were many internal conflicts like this. I wanted to capture the ever-changing scenery of Hoam on the skin. Specifically, we wanted the theater's skin to function like a natural media façade. Architecture that captures the small amount of time through changes in the epidermis that is discolored and worn out. Classical vertical concrete and glass curtain walls were used as the main materials to make it a sturdy theater that does not lose its dignity while being simple. Like the concrete skin of the National Theater and the National Theater in England, which contain the traces of time, the architecture was intended to maintain its classic character as a theater over the years. As a result, the mass of the cross-shaped Proscenium Theater, which consists of four stages, became a shape that was exposed to the outside. It was judged that the scenery in reality felt in the glass atrium where the stars were pouring during the intermission would add another inspiration to the performance. At this point, I searched the theater technical information DB and found that there are not many theaters in Korea that are properly equipped with a rear stage. It is probably because the local government prefers multi-purpose theaters rather than theaters dedicated to musicals where the depth of the stage is important. For similar reasons, there are more proscenium theaters than amphitheaters that favor classical music. Because musical consumption is higher. This work was a great opportunity to study the classic theater without any problems. The optimal reverberation time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stage, the position of the dress circle according to the sound diffraction, etc. I was able to study and simulate numerous theories of performing arts in 3D.

충주성이란 어떻게 상징화 되어야 할까? 지역성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을 했다. 호암지, 탄금대, 중앙탑, 충절의 도시 등 건축형상을 만들어 내는데 유리한 상징들이 있었지만 예술의 전당의 철학적 모티브가 되기에는 개연성이 부족했다. 수차례 현장방문과 고민의 결과, 저희가 주목했던 충주성은 시간과 날씨의 변화에도 변함없는 평온함 자체였다. 호암일대는 눈 쌓인 하얀 논밭, 은은한 어스름이 특히나 아름다운 곳이었다. 오래전부터 추상적 개념의 건축화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해오고 있다. 베니스 비엔날레 파빌리온 설계공모 당선 당시에도 '나는 베니스에서 바다를 처음 보았다'는 괴테의 한마디에 몇날 몇일을 매달렸다. 이 한 문장에서 'Fog'라는 모티브를 찾아내기까지 굉장히 오랜 시간과 노력이 들었다. 이번 충주 예술의 전당 설계안은 이와 같은 내면적 충돌이 많았기에 더 아쉬움이 남는다. 시시각각 변하는 호암 일대의 풍광의 변화를 표피에 담아내고 싶었다. 구체적으로 Theater의 외피가 자연이 만들어내는 미디어 파사드처럼 작동하기를 원했다. 이염되고 낡아가는 표피의 변화를 통해서 소소한 시간을 담아내는 건축. 고전적인 버티컬 콘크리트와 글라스 커튼월을 주재료로 질박하면서도 위용을 잃지 않는 단단한 Theatre가 되도록 하고자 했다. 시간의 흔적을 담고 있는 국립극장과 영국 National Theatre의 콘크리트 표피처럼, 세월이 지나도 Theater로서의 고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건축을 의도했다. 그 결과 4개의 무대로 구성된 십자형의 Proscenium Theater의 매스가 고스란히 외부로 드러나는 형상이 되었다. 인터미션때 별빛이 쏟아지는 글라스 아트리움에서 느끼는 현실 속의 풍광은 공연에 또다른 감흥을 더해주지 않을까 하는 판단이었다. 이참에 극장기술정보 DB를 뒤져보니, 국내에는 Rear Stage가 제대로 갖추어진 극장이 많지 않았다. 무대의 Depth가 중요한 뮤지컬 전용극장 보다 다목적 극장을 지자체에서 선호하기 때문인듯 하다. 비슷한 이유로 클래식에 유리한 원형극장보다 프로세니엄 극장이 많다. 뮤지컬 소비가 더 많기 때문이다. 만약 국내에 전용극장이 드문 이유가 설계사들의 역량부족에 기인한다면? 혹은 아마추어 심사에 기인한다면? 상상조차 하고 싶지 않지만, 대부분의 Theater 혹은 문화센터 설계공모 심사위원 리스트에 공연예술전문가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가벼운 행정력을 탓해야하는 것인가. 그럼에도 이번 작업은 고전적인 Theater에 대해 원없이 스터디 할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무대의 깊이에 따른 최적의 잔향시간, 음의 회절에 따른 Dress Circle의 포지션 등. 수많은 공연예술의 이론들을 3차원으로 스터디하고 시뮬레이션 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동선과 조닝, 무대 연출에 실무적이고 깊이 있는 조언을 해준 아내에게 감사한다.ㅤ

 
08_re.jpg
15-횡단면도1_re.jpg
03_re.jpg
 
 

Yanggu Station

 
 

I happily announce that one of our recent works has been selected as the shortlist in Yanggu Station Competition. In early winter. Lake Paro submerged in a light purple sunset. Looking at the wonderful scenery, I was briefly skeptical about the existence of Yanggu District. The motivation was the desire to architecturalize the isolated beauty of Yanggu and the warm texture of the sunset. The design motive we pursue is the same for every project: simple simplicity. A place that welcomes strangers who come to a foreign place surrounded by the sunset light. It was a series of worries about how to revive this grandiose motif. A texture full of local color that permeates the epidermis. As a result of contemplation, it had to be a simple one-story mass rather than decorated with fancy shapes and materials. Recently, it was put on the short list in the design competition for Yanggu Station organized by the National Railroad Authority, but it did not win. Still, there were results. In fact, the design competition for infrastructure facilities such as railroads, ports, and power plants is a place where vested interests in design and regional interests are too strong. Some people advise us to hit the rock with an egg, but the reason why we continue to knock on the door of the railway station design market is to throw a topic on the true public return of public assets besides the purpose of winning. Public property of public assets is a matter of course. The problem is that among the domestic grand constructions that cost more than 10 billion won, especially the local railway stations, the impression given by the space compared to the construction cost does not live up to expectations. Why are there no railway stations in Korea that have an in-depth philosophy on public space reduction, such as Rotterdam Central Railway Station and Canary Wharf Station? Our challenge began with the question. With such a small achievement, we were placed second in Guro Station and on the Short List of Yanggu Station this time, but rather than regret about the procedural contradiction of the design competition, our internal concerns and reflection on the architectural incompleteness only deepen. Blueprints for future railways in Jeddah, Saudi Arabia, that I made while working at Foster. Now, I wonder how those friends are progressing, but the lesson I learned from the best results my colleagues showed at the time was more than design soft power. Thorough background storytelling, well-thought-out design, and (most importantly) the client's full support showed the result of the architectural dogma, which was very attractive. I go back to the time when I had fun even through the night and challenge myself every time, but I don't think I've reached that charming conclusion. Whenever the opportunity arises, I would like to share my thoughts on the topic we are throwing with people who have a sense of tension and deep knowledge.

초겨울. 연보랏빛 노을에 잠긴 파로호. 그 경이로운 풍광을 바라보고 있자니 양구역의 존재에 회의감이 잠깐 들기도 했다. 양구의 고립된 아름다움, 노을 빛의 따뜻한 질감을 건축화 시켜보자는 욕심이 동기가 되었다. 우리가 추구하는 설계 모티브는 매 작업마다 동일하다_ 심플한 질박함. 석양 빛을 둘러 객지로 온 이방인을 반겨주는 곳. 이 거창하기만한 모티브를 어떻게 살려낼까 고민의 연속이었다. 표피에 스며드는 향토색 가득한 질감. 고민의 결과, 화려한 형상과 재료로 치장하기 보다는 차분한 1개층의 단순한 매스가 되어야 했다. 최근 국가철도공단에서 주관한 양구역사 설계공모에서 Short List에는 올랐으나, 당선되지는 못했다. 그럼에도 성과는 있었다. 철도, 항만, 발전소 등 인프라 시설 설계공모는 사실 설계 기득권과 지역 기득권이 너무도 강한 곳이다. 계란으로 바위치기라 조언해 주시는 분들도 있지만, 그래도 우리가 지속적으로 철도역사 설계시장의 문을 두드리는 이유는 당선의 목적 이외에도 공공자산의 진정한 공공성 환원에 대한 화두를 던지기 위함이다. 공공자산의 공공성이라니, 당연한 이야기다. 문제는 100억 이상 소요되는 국내 대역사 중, 특히 지방의 철도역사 일수록 공사비대비 공간이 주는 감동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다. Rotterdam Central Railway Station, Canary Wharf Station 처럼 대공공 공간환원에 대해 깊이 있는 철학을 가졌던 철도역사가 왜 국내에는 없을까? 하는 질문에서 저희의 도전이 시작되었다. 그렇게 소정의 성과로 구로역사 2등, 이번 양구역사 Short List에 오르긴 했지만, 설계공모의 절차적 모순에 대한 아쉬움 보다도 저희 내부의 건축적 미완성에 대한 고민과 반성이 더 깊어지기만 한다. 예전에 Foster에 있을때 만들어 냈던 사우디 Jeddah시의 미래철도에 대한 청사진들. 지금은 그 친구들이 어떻게 진행중인지 궁급하지만, 당시 동료들이 보여주었던 최상의 결과물에서 배웠던 레슨은 설계 소프트 파워 그 이상 이었다. 철저한 배경 스토리 텔링과 잘 짜여진 설계, 그리고 (가장 중요한) 클라이언트의 전폭적인 지지로 탄생된 결과물이 보여주었던 건축적 독단성은 굉장히 매력적이었다. 밤을 새도 즐거웠던 그때의 심지로 돌아가 매번 도전을 하지만, 그 매력적인 독단에 이르진 못한것 같다. 기회가 될때마다, 긴장감을 갖고 내공 깊은 분들과 우리가 던지는 화두에 대한 생각들을 공유하고자 한다. 양구역 사업부지는 지역의 중심지인 양구군청으로부터 직선거리로 약 967.3m 거리를 두고 있다. 소요시간은 도보 14분, 자전거 3분으로 도심지와 매우 인접하여 접근성이 우수하다. 뿐만 아니라 ‘양구군청-양구역사’로 이어지는 구간에 종합운동장, 문화원 등 지역 인프라들이 집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향후 양구 도심지를 하리 일대까지 확장 할 수 있는 연계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레벨상으로 사업부지는 월명봉 끝자락에 위치하여 파로호를 향한 풍광이 유려하여 단순한 역사로서의 기능을 넘어 전망대로의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하리 마을회관과 인접하여 마을 연계 발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역사로 접근로는 단방향 1개소로 진입한 차량이 회전순환로를 통해 되돌아 나와야하나, 향후 역사 인근 지구단위계획을 선 고려하여 회전순환로를 통해 이면의 다른 교통로와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에 반영했다.

 
B1_re.jpg
B3_re.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