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anggu Station

 
 

I happily announce that one of our recent works has been selected as the shortlist in Yanggu Station Competition. In early winter. Lake Paro submerged in a light purple sunset. Looking at the wonderful scenery, I was briefly skeptical about the existence of Yanggu District. The motivation was the desire to architecturalize the isolated beauty of Yanggu and the warm texture of the sunset. The design motive we pursue is the same for every project: simple simplicity. A place that welcomes strangers who come to a foreign place surrounded by the sunset light. It was a series of worries about how to revive this grandiose motif. A texture full of local color that permeates the epidermis. As a result of contemplation, it had to be a simple one-story mass rather than decorated with fancy shapes and materials. Recently, it was put on the short list in the design competition for Yanggu Station organized by the National Railroad Authority, but it did not win. Still, there were results. In fact, the design competition for infrastructure facilities such as railroads, ports, and power plants is a place where vested interests in design and regional interests are too strong. Some people advise us to hit the rock with an egg, but the reason why we continue to knock on the door of the railway station design market is to throw a topic on the true public return of public assets besides the purpose of winning. Public property of public assets is a matter of course. The problem is that among the domestic grand constructions that cost more than 10 billion won, especially the local railway stations, the impression given by the space compared to the construction cost does not live up to expectations. Why are there no railway stations in Korea that have an in-depth philosophy on public space reduction, such as Rotterdam Central Railway Station and Canary Wharf Station? Our challenge began with the question. With such a small achievement, we were placed second in Guro Station and on the Short List of Yanggu Station this time, but rather than regret about the procedural contradiction of the design competition, our internal concerns and reflection on the architectural incompleteness only deepen. Blueprints for future railways in Jeddah, Saudi Arabia, that I made while working at Foster. Now, I wonder how those friends are progressing, but the lesson I learned from the best results my colleagues showed at the time was more than design soft power. Thorough background storytelling, well-thought-out design, and (most importantly) the client's full support showed the result of the architectural dogma, which was very attractive. I go back to the time when I had fun even through the night and challenge myself every time, but I don't think I've reached that charming conclusion. Whenever the opportunity arises, I would like to share my thoughts on the topic we are throwing with people who have a sense of tension and deep knowledge.

초겨울. 연보랏빛 노을에 잠긴 파로호. 그 경이로운 풍광을 바라보고 있자니 양구역의 존재에 회의감이 잠깐 들기도 했다. 양구의 고립된 아름다움, 노을 빛의 따뜻한 질감을 건축화 시켜보자는 욕심이 동기가 되었다. 우리가 추구하는 설계 모티브는 매 작업마다 동일하다_ 심플한 질박함. 석양 빛을 둘러 객지로 온 이방인을 반겨주는 곳. 이 거창하기만한 모티브를 어떻게 살려낼까 고민의 연속이었다. 표피에 스며드는 향토색 가득한 질감. 고민의 결과, 화려한 형상과 재료로 치장하기 보다는 차분한 1개층의 단순한 매스가 되어야 했다. 최근 국가철도공단에서 주관한 양구역사 설계공모에서 Short List에는 올랐으나, 당선되지는 못했다. 그럼에도 성과는 있었다. 철도, 항만, 발전소 등 인프라 시설 설계공모는 사실 설계 기득권과 지역 기득권이 너무도 강한 곳이다. 계란으로 바위치기라 조언해 주시는 분들도 있지만, 그래도 우리가 지속적으로 철도역사 설계시장의 문을 두드리는 이유는 당선의 목적 이외에도 공공자산의 진정한 공공성 환원에 대한 화두를 던지기 위함이다. 공공자산의 공공성이라니, 당연한 이야기다. 문제는 100억 이상 소요되는 국내 대역사 중, 특히 지방의 철도역사 일수록 공사비대비 공간이 주는 감동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다. Rotterdam Central Railway Station, Canary Wharf Station 처럼 대공공 공간환원에 대해 깊이 있는 철학을 가졌던 철도역사가 왜 국내에는 없을까? 하는 질문에서 저희의 도전이 시작되었다. 그렇게 소정의 성과로 구로역사 2등, 이번 양구역사 Short List에 오르긴 했지만, 설계공모의 절차적 모순에 대한 아쉬움 보다도 저희 내부의 건축적 미완성에 대한 고민과 반성이 더 깊어지기만 한다. 예전에 Foster에 있을때 만들어 냈던 사우디 Jeddah시의 미래철도에 대한 청사진들. 지금은 그 친구들이 어떻게 진행중인지 궁급하지만, 당시 동료들이 보여주었던 최상의 결과물에서 배웠던 레슨은 설계 소프트 파워 그 이상 이었다. 철저한 배경 스토리 텔링과 잘 짜여진 설계, 그리고 (가장 중요한) 클라이언트의 전폭적인 지지로 탄생된 결과물이 보여주었던 건축적 독단성은 굉장히 매력적이었다. 밤을 새도 즐거웠던 그때의 심지로 돌아가 매번 도전을 하지만, 그 매력적인 독단에 이르진 못한것 같다. 기회가 될때마다, 긴장감을 갖고 내공 깊은 분들과 우리가 던지는 화두에 대한 생각들을 공유하고자 한다. 양구역 사업부지는 지역의 중심지인 양구군청으로부터 직선거리로 약 967.3m 거리를 두고 있다. 소요시간은 도보 14분, 자전거 3분으로 도심지와 매우 인접하여 접근성이 우수하다. 뿐만 아니라 ‘양구군청-양구역사’로 이어지는 구간에 종합운동장, 문화원 등 지역 인프라들이 집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향후 양구 도심지를 하리 일대까지 확장 할 수 있는 연계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레벨상으로 사업부지는 월명봉 끝자락에 위치하여 파로호를 향한 풍광이 유려하여 단순한 역사로서의 기능을 넘어 전망대로의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하리 마을회관과 인접하여 마을 연계 발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역사로 접근로는 단방향 1개소로 진입한 차량이 회전순환로를 통해 되돌아 나와야하나, 향후 역사 인근 지구단위계획을 선 고려하여 회전순환로를 통해 이면의 다른 교통로와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에 반영했다.

 
B1_re.jpg
B3_re.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