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wha Helen Hall

 
 

Helen Hall was built in 1957 as Ewha Womans University's first central library. It is a representative building symbolizing Ewha Womans University's history. It is currently used by the College of Nursing. Helen Hall is a place of active cultural exchange among the new women of the time and a place where numerous debates and discussions took place at key moments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and contemporary women's rights. It is a building that shows modern architectural style well and has great architectural historical value. The façade, which shows precisely calculated proportions with simple intersecting concrete louvers, presents the depth of refined order and sophistication that transcends the times. Although Helen Hall is a symbolic building of Ewha Womans University, it is currently isolated due to the physical limitations of the aging building and its deviation from the axis of the ECC campus. The façade facing the road is dispersed from view due to the level difference, creating a naturally isolated spatial structure. Unlike the trend in modern architecture, where openness and autonomy of action must be guaranteed, this closed spatial structure serves as the main cause of weakening the goal of an open academic information center. We sought to present a new alternative as an open, cutting-edge academic information center by resolving the physical limitations of Helen Hall.

Beyond the task of reconstructing a symbolic building of a university, the design process wa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reinterpreting Helen Hall as a space with a strong identity within the flow of modern Korean architectural history. The starting point of this design was to reduce the physical gap based on strong communication with the surrounding context. To this end, we sought to preserve the façade of Helen Hall, which has high preservation value, and at the same time inherit the value of Helen Hall as a heritage of Ewha Womans University through reinterpretation. An innovative alternative was needed that went beyond the expected primary responses, such as preservation of the façade, use of the courtyard, and tower-type mass. We wanted to create a design that would exemplarily inherit tradition with creative vocabulary, such as reprocessing the rear part while preserving the skin, and contrasting physical properties. In order to establish an innovative design direction based on conservation, the design was carried out based on several specific principles. First, utilize the level difference of the land when opening the mass. Second, the past and present will be recombined through an autonomous interior space that contrasts with the refined façade. Third, the dignity of the Helen Hall as a symbol of Ewha Womans University will be shown through the preservation of the façade. Based on these principles, we tried to find proportions and volumes that would balance Ewha Womans University's main building and the central library.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realize a façade with a purified identity that harmonizes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within the hierarchy of the campus, the original shape of the façade was preserved as much as possible according to the detailed facility construction plan, minimizing the sense of heterogeneit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open atrium and laminated slabs embracing the campus landscape were intended to function as the main library's vestibule. We wanted to maintain the original context of Helen Hall but create an innovative interior space that fits the context of the times as a cutting-edge academic information center. Through this, we attempted to decentralize the functions of the saturated Central Library and fundamentally improve the irrationality of the existing circulation lines through vertical movement lines on both sides of the slab.

As it is a building with a strong identity that symbolizes the history and future of Ewha Womans University, we wanted to reflect innovative design methodologies. In addition to maintaining the existing Helen Hall façade, the new Environmentally Adaptive Facade system allowed for active control of lighting and ventilation. We attempted to solve the dark and humid microclimate of the existing Helen Pavilion through an architectural device based on natural ventilation (cross ventilation). The façade and atrium, designed to the optimal shape through various eco-friendly design simulations such as insolation and indoor wind tunnel (CFD), will provide users with a healthy residential space. The reconstruction of Helen Hall began with the contemporary task of evolving the academic information center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such as the lack of individual creative space, acceptance of various learning styles, and creation of a new campus atmosphere. The current Central Library had realistic limitations such as space usability, capacity, and aging facilities to accommodate these issues. Helen Hall, which will complement this and be reborn as an organic space with a strong identity, will symbolize the future of Ewha Womans University, which has led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 of Korea by producing numerous talented people and will also function as a unique academic information center within the high-density campus.

헬렌관은 1957년 이대 최초의 중앙도서관으로 건립된 건물이자 이대의 역사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건물이며 현재 간호대학으로 사용중이다. 헬렌관은 당대 신여성들의 활발한 문화교류의 장이자 근현대 여권 신장의 주요 순간마다 숱한 논쟁과 협의가 오갔던 곳으로 그 장소성과 상징성이 주는 위압감은 굉장하다. 근대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는 건축물로 건축사적 가치도 우수하다. 간결한 콘크리트 루버가 교차하며 정교하게 계산된 비례를 보여주는 파사드는 정제된 질서의 깊이와 시대를 뛰어넘는 세련됨을 선사한다. 헬렌관은 이대를 상징하는 건물임에도 노후화된 건물의 물리적인 한계와 ECC 캠퍼스 축에서 벗어남으로써 현재 다소 고립된 상황이다. 도로에 면한 파사드는 레벨차로 인해 시야에서 분산되면서 자연스럽게 고립된 공간구조를 연출하고 있다. 개방성과 행위의 자율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현대 건축의 추세와 달리 이러한 폐쇄적인 공간구조는 열린 학술정보관이라는 목표를 약화시키는 주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헬렌관의 물리적 한계를 양성화시켜 열린 첨단학술정보관으로서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

 

한 대학교의 상징적인 건물의 재건축이라는 과업을 넘어 한국 근대 건축사의 흐름 속에서 강한 정체성을 지닌 공간으로서 헬렌관을 재해석한다는 관점을 설계과정의 기저에 두었다. 주변 컨텍스트와의 강한 교감을 바탕으로 물리적 간격을 줄이는 것이 본 설계안의 시작점이었다. 이를 위해 보존가치가 높은 헬렌관 입면을 존치함과 동시에 재해석을 통해 이대의 유산으로서 헬렌관의 가치를 계승하고자 했다. 파사드 보존, 중정의 활용, 타워형 매스 등 어느 정도 예상되는 1차적 대응을 뛰어넘는 혁신적인 대안이 필요했다. 표피 존치와 함께 후면부를 재가공한다거나 물성의 대비 등 창의적 어휘로 전통을 모범적으로 계승하는 설계안을 만들어내고자 했다. 보존에 기반한 획기적인 설계방향 정립을 위해 구체적으로 몇 가지 원칙을 두어 설계를 진행했다. 첫째, 매스 개방에 있어 대지가 지닌 레벨차를 활용할 것. 둘째, 정제된 파사드와 대비되는 자율적인 실내 공간을 통해 과거와 현재를 재조합할 것. 셋째, 파사드의 존치를 통해 이대의 상징으로서 헬렌관의 위엄과 품위(Dignity)를 보여줄 것. 이러한 원칙을 기반으로 이대 본관과 중앙도서관 사이에 균형을 가져다줄 비례와 볼륨을 찾아내고자 했다. 동시에 캠퍼스의 위계 속에서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순화된 정체성을 지닌 파사드를 구현하기 위해 세부시설조성계획에 따라 입면부는 최대한 원형을 보존하여 주변 환경과의 이질감을 최소화했다. 캠퍼스 풍경을 품은 열린 아트리움과 적층된 슬라브는 중앙도서관의 전실로서 기능하도록 의도됐다. 헬렌관이 지닌 원형의 컨텍스트를 유지하되 첨단 학술정보관이라는 시대의 맥락에 부합하는 혁신적인 실내 공간을 창출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포화상태인 중앙도서관의 기능 분산을 유도하고 슬라브 양측면의 수직동선을 통해 기존 동선의 불합리함을 근본적으로 개선했다.

 

이대의 역사와 미래를 상징하는 정체성이 강한 건물인만큼 혁신적인 디자인 방법론들을 반영하고자 했다. 기존 헬렌관의 입면을 존치함을 넘어 새로운 환경적응파사드(Environmentally Adaptive Facade) 시스템으로 적극적으로 채광과 환기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했다. 어둡고 습했던 기존 헬렌관의 미시기후(Microclimate)를 자연환기(Cross ventilation)에 기반한 건축적 장치를 통해 해결하고자 했다. 일사량(Insolation), 실내풍동(CFD) 등 다양한 친환경 설계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형상으로 디자인된 파사드와 아트리움은 사용자에게 건강한 정주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헬렌관 재건축은 개별 창작 공간의 부족, 다양한 학습 형태 수용, 새로운 캠퍼스 분위기 조성 등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학술정보관의 진화라는 시대적 과업에서 시작됐다. 이러한 최신 이슈들을 수용하기에 현 중앙도서관은 공간 활용성, 수용 규모, 시설 노후 등 현실적 한계를 갖고 있었다. 이를 보완하며 강한 정체성과 유기적인 공간으로 재탄생할 헬렌관은 수많은 인재 배출을 통해 한국의 근현대를 이끌어온 이대의 미래를 상징함과 동시에 유휴부지가 부족한 고밀도의 캠퍼스 내에서 유일무이한 학술정보관으로서 기능할 것이다.

 
 

Heygate Estate Regeneration

 
 
 

 

The Heygate estate was designed as a low-income social housing located in the South London borough of Southwark. It housed over 1200 families for more than three decades. Prior to the 1930s the area consisted of a suburb of Victorian tenements which were considerably damaged during the German bombings in World War II. The council decided to demolish and rebuild the area rather than repair the extensive damages, leading to a major post-war regeneration project designed by architect Tim Tinkers which started in the 1960s and was completed in 1974. Due to the economic crisis during its construction, it had been constructed quickly with limited funds. In the context of the city in the 1970's the estate had been designed in a manner that separated it from the dirty and polluted surroundings and created a safe and green haven inside. But the rise in unemployment in the 1980's there was an increase in crimes and other anti-social activities and there were social and other issues that arose in the estate from this. The southern facade required extensive environmental research for developing design strategies. This is due to the duration of direct solar incidence upon this facade which varies from 8-12 hours. The orientation makes it necessary to design a facade that utilizes the large solar gains successfully during the cool period and negates scenarios of overheating during the warm period. The design strategy at every step has been tested on the Ecotect and TAS for the best combination of daylight. Stage 1 - The window sizes for units have been derived from the glazing-to-floor ratios deemed suitable from the Energy index calculation and these are positioned in the facade keeping views and interior spatial quality in context. Stage 2 - There were shading diagrams calculated from Ecotect and strategies have been developed such that each aperture was shaded from direct solar incidence during the warm period when the sun was at the pear azimuth position. This could be achieved by tilting the facade by an angle of 15 degrees toward the South along with having a horizontal shading device. The application also served the purpose of creating a private terrace space which added to the living quality of the flat. The tilt was integrated inward into the structure instead of an extension keeping in context the complication of adding cantilevered extensions to the existing structure as well the thermal problems of a cold bridge this would lead to. Stage 3 - The facade was finally modified by redistributing window sizes and placing windows vertically to further improve daylight performance in the living space. The average annual wind velocity on the north side is 1.15m/s, addition of projected masses shows a reduction of this wind speed to 0.23m/s. But to create more space for outdoor activities these projected masses have been reduced in number and interspersed with a lighter structure that functioned in the same manner as windbreaks. The principle that has been used in deciding the position of these projected masses is that if the height of the mass is ‘H’ then the distance between two masses is ‘20H’. Site simulations conducted on Winair showed that the wind condition on the south of the building was not as poor as the north; this was due to the protection provided by the existing trees on the site. However, the wind velocity of 1.15~2.0m/s in the south can be further optimised as according to the Beaufort scale the most pleasant wind for outdoors is less than 1.5m/s. Also according to spot measurements, the actual maximum wind velocity on the south side was 4.5~5.0m/s. To attain this condition there can be additional trees planted to function as windbreaks. However, the outdoor spaces in the north which have more drastic wind conditions can not be controlled by plantation as the space in the north is insufficient from adequate trees. Thus temporary light structures that create doldrums-like spaces within them can act as windbreaks on the northern side. The strategy in the south is to increase the number of trees which shows a reduction of the average annual wind velocity from 1.15m/s to 0.46m/s. In the outdoor spaces on the north side, the addition of projected mass and lighter structures function as windbreaks and reduce the wind velocity in the wind channel from 1.15m/s to 0.23m/s. These conditions are satisfactory for optimal outdoor comfort. The landscape of the site has been planned integrating the surroundings of the site. The outdoors has been planned around three focal nodes, two to the northern side (Node 1 & 2) and one to the southern side. Node 1 is a conjunction of all pedestrian paths connecting the site to the Elephant & Castle and Node 2 is where all traffic flowing in from the rest of the master plan reaches the site, both of these nodes are aimed towards use by the public. Node 3 is planned as a more private buffer zone, which can be used by residents, and people from the residential neighborhood to the south. The outdoor has been zoned (Fig 16) guided by the strategic placements of the public and private nodes. The spaces to the north of the building have been designed as commercial spaces for use by the public who visits the site, whereas the region on the south is a quitter and more private space for the residents of the building as well as for access to the residential floors.The trees existing on the site comprise only deciduous trees, 15 trees to the northern side and 13 trees to the south. These deciduous trees act as good windbreaks in the warm period but in the cool period, they have no foliage, and hence their impact as windbreaks reduces. The addition of evergreen trees and low shrubs can make these windbreaks effective even in the cool period and create comfortable outdoor spaces. Outdoor design and Facade have been treated at the same time. The facade design was intended to attract the flow from the outdoors into the inside. To do this motive of design, at first solar ray has been tested regarding the incidence angle to secure the view to the outside. All the circulation from ground level can be reached to the void space through the sloping passage securing accessibility for disabled people. Environmentally, the balcony was projected depending on how much it could provide shading areas.

도심재생 프로젝트의 일례로 런던 엘리펀트캐슬(Elephant Castle) 지역의 Heygate Estate 재생(Regeneration)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그전에 개괄적 인트로임을 밝힌다. 영국 런던 남부의 엘리펀트캐슬 카운실(Council)과 에스테이트(Estate)간 줄 다리기로 수년간 방치되어 슬럼화된 아파트먼트 지역이다. 2차 대전 종전후 도시 정비가 미숙한 시점에서 들어선 길이 180m의 거대한 볼륨. 당시 신공법이었던 프리캐스트 커튼월의 기본 골격이 견고했다. 에스테이트 내에서 슬럼화가 가장 농후한 지역을 선정해 지속가능성을 타진했었다. 기존 배치와 골조를 재사용하는 리퍼비쉬먼트(Refurbishment)의 일환으로 주된 전략은 다음과 같다. 1. 체감 온도가 중요한 지면(Ground level)에서 빌딩 사이에 형성된 도심지 계곡(Urban Canyon)에서의 바람 유입 조절 -> 건물 표피 온도의 최적화 -> 냉난방 부하 개선 / 2. 건물 중층에 보이드 형성 -> 열악한 북측 일조 해결 (현대 건축에서 대부분의 키친 및 다용도실은 북측에 면한다) -> 실내 열적(Thermal) 환경 개선 / 3. 각 세대를 상호 중복형으로 겹배치 -> 실내 열적 덩어리(Thermal mass)의 구속(Trapping) -> 최적의 열적 효율 증명 -> 유지비 개선 / 이 모두가 낙후된 건물의 재생을 위한 설계적 조치들로 건강한 환경 조건을 만들고, 유지비를 줄여 현실적으로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검증된 해법들이다. 혹자는 도시가 살아야 건물이 산다고 하나 실상은 반대다. 사람이 건강해야 집이 건강해지듯, 건물이 건강해야 도시가 건강해진다. 얼마전 Y대에서 연구용역중인 친환경 건축 규제에 관한 정보를 접했다. 요점은 퍼실러티(Facility)에 의지해 이상적인 공조 환경을 구축하겠다는 것인데, 이에 따른 건축 설비 및 환경 수치 기준 제정에 년간 수백억이 들어야 할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국제 지속가능 건축 포럼 PLEA(www.plea2016.org)에서 쏟아지는 수백편의 논문들에서 퍼실러티로 지속가능한 건축을 실현했다는 사례는 찾을 수 없다. 런던 시청과 서울 시청을 비교해보자. 지속가능 건축은 디자인 프로세스 초기에 반영되어야 한다. 형상 작업(Forming), 재배치(Re-arrangement) 등 초기 과정에서 최적의 터치를 통해 공간을 자생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개축도 물론 포함된다. 옷으로 치면 개인의 체질과 체형에 맞게 옷의 재질을 선정하고 디자인하는 것. 덥다고 옷에 선풍기를 다는 것이 아니다. 지속가능성이란 기존의 것들을 재취합, 재배치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얻는 시도다. 채를 통해 불순물을 걸러내는 것. 일종의 오버홀(overhaul) 개념이다. 단순히 퍼실러티로 쉽게 얻을 수 있는 가치가 아니다. 예를 들어, 평균 기온 33도. 평균 습도 80%에 육박하는 여름의 서울 도심지 환경에서 퍼실러티 증설로 증가한 냉방부하는 열원으로 남아 결국 빌딩 숲에 갖히게 된다. 그 열이 다시 실내로 유입된다. 당연히 냉방비는 상승한다. 이런 상황에서 퍼실러티 증설을 독려하는 건축 환경 규제가 해법이 될 수 있을까? 차선책으로서 결국 한국과 같이 연교차가 큰 난해한 기후대의 도심지에서 가장 효과적인 어반 쿨링(Urban Cooling) 방법은 건물 중층의 보이드 형성, 저층부의 비워냄 및 녹지 증설 뿐이다. 보이드로 인한 연면적 축소는 설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실제 한국의 필로티 구조는 건강한 미시기후(Microclimate) 형성에 도움이 되는 사례로 종종 소개된다. 서울의 도심환경에서 건축적 지속가능성을 실현한다면, 어디에서든 통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속가능건축의 상품화도 가능할 것이다. 기존의 법규에 건축 형태의 포밍과 배치에 관한 가이드라인만 추가해도 유럽이 꿈꾸는 이론상 존재하는 지속가능한 어반(Sustainable Urban)도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전자가 더 비현실적이지만.

 
 

父子

 
 

저 쪽 방에서 아버지가 공부하고 계신다.
이 쪽 방에서 내가 책을 읽고 있다.
하얀 불빛과 노란 불빛이 스며 나오는 방과 방 사이에는 밤이 찾아왔다.
아버지 공부가 끝나시면, 자기전 인사를 드리려고 기웃거리니 아직 공부중이시다.
아버지 역시 내 책읽기가 끝나면, 자기전 인사를 하려고 기웃거리셨을 것이 분명하다.
그렇게 두세번 기웃거리다 사이에서 만났다.
저 쪽 방에서 아버지가 건너 오신다.
이 쪽 방에서 내가 건너 간다.
이 순간의 정적과 빛, 그리고 빗소리가 우리 부자를 감싼다.

 
 

Optimal Built-form

 
 

DISSERTATION ABSTRACT_ Sustainable Environmental Built-Forms in High-Density Urban Areas

Why can’t we design a building like a tree? A building that makes oxygen, sequesters carbon, distills water, accrues solar energy as fuel, creates microclimates, and changes colors with the seasons (W. McDonough and Braungart 1998). It sounds a bit abstract. The obvious fact is that a modernized built form based on efficiency and desire has revealed its intrinsic limitations. What is the efficiency modern architects are chasing? Meanwhile, have we ever enjoyed spatial delights from such buildings? What kind of modern architectural alternatives would bring us new visions for a better life? Why we still have been exposed to harsh microclimatic conditions, especially in high-density urban areas? Why we cannot be protected thermally from urban structures? Ecological history shows the answer. The project was started with the hypothesis that if there are specific built forms to be able to maintain optimum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organisms, such methodology is applicable to urban scales as well. It is time to review how the cocoon, which is composed of polygonal-structured segments, supplies a butterfly pupa with optimal thermal conditions, and how the diverted conduits of a termite mound provide inside with suitable ventilation. I wish this small piece of work would be a foothold in the field of sustainable architecture for better environments.

나무와 같은 건물. 산소를 생산하고, 탄소를 격리시키고, 물을 정제하고, 태양 에너지를 축적하고, 미시기후를 재생시키고, 계절에 따라 옷을 갈아 입는 (W. McDonough and Braungart 1998). 효율성과 욕망에 사로잡힌 현대화된 built forms의 본질적 한계. 현대의 건축가들이 쫓는 효율성이란? 일률적 건물들에서 공간적 기쁨을 누렸던 적이 있었던가? 새로운 비전을 보여줄 수 있는 현대의 건축적 대안들은 무엇인가? 왜 우리는 여전히 고밀도 도심지의 극심한 미시기후 변화로부터 열적(熱赤) 보호를 받지 못하는가? 본 프로젝트는 유기체를 위한 최적의 환경 조건을 유지할 수 있는 특수한 built forms이 있다면, 이는 도시적 스케일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시작하였다. 다각형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고치(繭)가 나비 유충에 제공하는 최적의 열적(熱赤) 환경, 흰개미 마운드의 분화된 도관들이 보여주는 적절한 환기(換氣)를 돌아볼 시점이다.

 
 

일회성 파편들

 
 

There are numerous tries to support the biased aesthetic view of themselves as well as to criticize others' work on poor skills and unsound logic. The accidental trivial controversies derived from the irresponsible liberal system make people annoyed. If they tried to show respect for the tiny differences in accumulated incidents, objects, and other people in a moment even, there was no need to make such controversies intentionally to make a deal. But the truth is invisible things that have already been there surrounding them terminate everything in the end. Wake up and think about what is the real one. The real touching comes not from the social status you might have achieved but from the result touchable and visible to others as well.

조잡한 스킬과 논리로 자신의 편협한 미학적 관점을 합리화하며 타인의 작업물을 편론하려드는 시도들이 난무한다. 자유 체제 속에서 우발적으로 뱉어져 나오는 일회성 파편들(인간이란 결국 기계적 유기체에 불과하나 생각들게 만드는)이 사람들의 눈과 귀를 어지럽힌다. 단 일순간이라도 적체되어 있는 사건과 사물과 상대에 대한 경외를 시도해 보았다면, 의도적으로 먼지를 일으킬 필요는 없었을텐데. 결국 모든 것은 보이지 않는 주변의 것들에 의해 종결된다. 이미 존재했으나 볼 수 없었던. 각성하고 각성하라. 무엇이 진실인지. 진짜 감동은 시간이 지나면 승계 되는 사회적 직책이 아닌, 내 손을 떠나 타인에 의해서도 만져지고 보여지는 결과물에 의해 전달된다.

 
 

Spatial Brutalism

 
 

Parametric skill is based on the accidental elements fundamentally. The thing is that it's not easy to recognise the encroaching on the instinctive sense of volume by such accidental things. When I recognized the intended extreme form depending on the specific algorithm in some spatial creatures, which is based on fantastic touching skills, and paralyzing the sense of recognition of space instantly, I couldn't hide disappointment. First, the non-recognition of space identity by the architect himself. Second, the violence of space makes users isolated. Lastly, the incompetence of advisers ignoring such brutalism. The monstrous creatures: the structure without the motive in space, and the lack of redefinition of human scale.

파라매트릭은 우연적 요소에 의존한다. 문제는 이 우연성이 본능적인 매스 감각을 잠식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 환상적인 터칭 스킬과 연출로 공간감을 순간적으로 마비 시키는 창작물들에서 특정 알고리즘에 의지해 극단적인 조형성을 의도하려는 흔적을 발견할때면, 실망감을 감출 수가 없다. 먼저, 건축가 자신의 공간의 정체성에 대한 무지. 두번째는, 유저를 고립시키는 공간의 포악성. 마지막으로, 이러한 포악성을 묵과하는 주변 어드바이저들의 무능. 디테일에 빠져 모티브를 상실한 혼이 없는 구조물들. 매 페이스마다 신경쓰지 않으면, 손을 떠나 버리고 마는 것 아니던가. 놓칠 수 있는 또 한 가지. 공간에 따른 휴먼 스케일 재정의의 부재.

 
 

Microclimate in Seoul

 
 

Typical microclimate conditions at isolated narrow alleys in Seoul. Can you believe that the momentary maximum temperature is almost 52 Celsius causing poor ventilation and isolated urban structure? Even, the minimum temperature is over 28 Celsius. We are living in such poor environmental conditions according to the stupid urban planning and building regulations: actually, there are no regulations. What do you think of this shameful result? What did architects do for residents for a long time?

서울의 전형적인 고립된 좁은 골목 지역에서 보여지는 Microclimate Condition. 형편 없는 Ventilation과 고립 된 도시 구조로 인해 순간적인 최대 기온은 52도에 이른다. 어리석은 도시 계획과 빌딩 규제로 야기된 최악의 생활환경: 실질적인 빌딩 규제는 없는 실정. 이것이 서울의 오늘이다. 이 부끄러운 결과를 어떻게 받아 들여야 하는가. 그동안 건축가라 불리는 사람들은 무엇을 했던가.